ATX 파워 개조-DC2DC 만들기(5)
일반적으로 스위칭 전원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소자인 TL494의 핀 기능도입니다.
TL494의 동작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각 제조사에서 배포하는 매뉴얼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왼 쪽 부분에 있는 붉은 색을 덧칠한 부분을 보면,
제어 모듈에 있는 TR 쌍들의 베이스를 각각 TL494의 9, 10번 핀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베이스들은 평상시에는 2.2kohm의 저항에 의하여 접지되어 있어서 동작하지 않습니다.
TL494의 9, 10번 핀이 HIGH가 되면 제어 회로의 TR이 작동하여 IRF의 게이트에 전압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IRF에 전류가 흐르면 트랜스의 1차측에도 전류가 흐를 것이고
이에 따라 2차측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다른 부품에 가려져서 맨 왼쪽의 저항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만 붉은 색으로 표시된 R23과 같은 값의 저항이 있습니다. 8번핀과 11번 핀에 연결되었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서 붉은 색으로 칠해진 부분의 부품(저항 2개와 점프선 하나)을 제거했습니다.
개조된 다음의 모습입니다.
저항 두개와 점프선 하나를 제거하고, 8번과 11번을 연결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파란색과 나란한) 점프선을 연결했습니다. 이외에도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8번과 11번에 연결된 불필요한 부품들을 제거 합니다. +12V에 연결하는 것 이외의 것들은 모두 불필요합니다.
다음은 뒷면도 수정해야 합니다. 수정 전의 뒷면 사진입니다.
9번 핀과 10번 핀이 접지에 연결되어 있어서 칼로 패턴을 끊고,
제어 모듈에 있는 TR 쌍들의 베이스 연결합니다.
수정한 후의 사진입니다.
노란 색과 파란 색 부분은 앞면에서 개조한 부분으로 8번 핀과 11번 핀을 12V에 연결한 것입니다.
붉은 색으로 칠한 부분을 보면 9번 핀과 10번 핀을 분리하여 접지에서 떨어뜨린 다음에
회색 선을 이용해서 제어 모듈의 베이스로 연결하고 있습니다.
TL494의 8번, 11번, 12번 핀을 12V 입력에 연결하고,
5V SB에서 5V 전압이 항상 나오는지 확인해보면 작업은 끝입니다.
작업 중인 아들 녀석입니다.
희망도 주고 실망과 고민도 주는 녀석입니다.
전원의 팬만 연결하고 돌려 봤습니다.
스위칭되는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AVR AT90S2313을 이용해서 간단한 주파수 카운터를 만들었습니다. 브레드 보드에 있는 칩이 AT90S2313이고, 역시 브레드 보드에 있는 LCD로 측정한 주파수 값을 보여 줍니다. 팬만 돌리는 경우에 75,750이 출력됩니다. 즉 약 75.75kHz로 동작합니다.
P3 메인보드와 하드디스크를 물려봤습니다.
CPU는 적당한 것이 없어서 없는 상태로 돌려 봤습니다. 주파수 카운터에 145,539가 나옵니다. 즉 약 145.5kHz로 동작합니다.
카PC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이 파워를 개조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에서 실제로 사용해 보니까 P3에서는 잘 동작합니다만, P4에서는 GG...
전력이 부족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