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실

만물상 간이전광판 2편

mcus 2012. 1. 17. 03:31

리모컨 키를 주르면 부저가 울리도록 부저를 추가했습니다.

원래 전광판에 스피커를 달 수 있도록 단자가 있었습니다.

스피커 단자를 따라 가보니 VoiceLand라 찍힌 H6161P voice chip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해 보니 많이 쓰이는 칩 같은데 다룰 줄 모르니 일단 패스... 나중에 시간나면 연구해 보기로 하고, 그냥 단순하게 부저를 달기로 하였습니다.

부저는 전원을 넣어 주면 알아서 삐~~ 울어 주는 것이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계속 on/OFF 동작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만물상 김원규 사장님께서 세 종류의 부저를 보내 주셨습니다.

 

맨 왼쪽에 있는 가장 큰 것은 전원만 연결하면 알아서 삐~~ 해주는 종류이고, 나머지 두개는 AVR로 제어해야 합니다.

일단 큰 것은 제어가 간단하니까 프로그래밍하기는 편하겠지만, 크기가 좀 커서 불편할 듯하여 작은 것으로 선택하였습니다. 펌웨어는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편한 것으로 고르십시오. 며칠 전에 올린 방법대로 개조해서 ISP 없이 펌웨어 업데이트할 수 있게 개조하신다면 더욱 부담없이 선택하십시오.

 

부저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도입니다.

 

R1은 대충 몇 키로옴 정도로 쓰면 됩니다. 없어도 되지만 AVR을 보호하려고 사용했습니다. 책상에 돌아다니는 것 아무거나 줏어서 썼습니다.

Q1도 대충 NPN 계열이면 아무거나 쓰면됩니다. 2SCXXX 또는 2SDXXX 계통이면 다됩니다. 실제로 부저를 동작시킬 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지는 않았습니다만, 큰 부저는 12V를 걸었을 때에 약 20mA 흘렀습니다.

제가 사용한 TR은 2SC945인데 컬렉터 전류가 100mA이니까 이정도면 충분합니다. 2SC1815는 컬렉터 전류가 150mA입니다.

 

부저에다가 TR의 이미터를 연결한 다음에 부저를 기판에 붙이려고 준비한 모습입니다.

 

부저의 +, - 쪽 핀 두 개를 다 제거하였습니다.

기판 중앙 부분에 J11 10개의 핀 중 10번이 Ground라서 여기에다 부저를 땜하여 붙이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먼저 개조하면서 설치한 점퍼가 8번과 9번이었는데, 이 점퍼와 닿아서 -핀을 그대로 기판에 넣을 수가 없습니다. 할 수 없이 원래 있던 핀을 제거하고 조금 더 긴 점프선을 연결하였습니다.

 

+쪽도 핀을 완전히 잘라네고 TR의 이미터를 바로 땜하였습니다.

두 쪽 모두 부저를 부착한 다음 핀이 기판을 긁지 않도록 부저의 플라스틱 보다 낮게 처리해야 합니다.

 

약간 허옇게 보이는 것은 양면테이프입니다. 부저가 잘붙어 있도록 돕고, 완성한 후에 흔들려서 기판이 긁히지 않게할 목적으로 사용했습니다.

 

기판에 부탁한 모습니다.

 

 

 

 

지난번의 ISP없이 펌웨어 업데이트 하도록 개조한 것과 합하여 J11의 7, 8, 9, 10번 핀을 사용했습니다.

참고로 7번 핀은 AVR ATmega32의 PORTA PA2, 8번핀은 PORTA PA3, 9번 핀은 +5V, 10번 핀은 GND입니다.

 

이글의 사진이나 소스프로그램 등은 저작자의 동의 없이는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비상업적인 목적이라하더라도 출처를 밝히지 않고 게시하는 것은 금지합니다.